함께 묻고 함께 답하며, 지혜로운 아이로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64)
        • 일상에서 대화 (40)
        • 시사상식 (3)
        • 대화질문법 정리 (18)
    • 홈
    • 태그
    • 방명록
    일상에서 대화

    아이와 함께 배워야하는 이유 : 부모의 역할

    1. 유대인 아버지의 질문저녁 식탁에 둘러앉아 빵을 나누던 중, 저는 아이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옛날에 한 지혜로운 사람이 이런 질문을 했단다. ‘강한 사람이란 누구일까?’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아이는 잠시 고민하더니 대답했습니다."음… 힘이 센 사람? 무거운 걸 많이 드는 사람?"저는 고개를 끄덕이며 다시 물었습니다."그럴 수도 있지. 그런데 만약 누군가 너를 화나게 하면, 네가 화를 참는 건 강한 걸까, 약한 걸까?"아이는 조금 더 생각하더니 말했습니다."화내고 싶은데 참으면 힘든데… 그래도 참으면 강한 거 아닐까?"저는 미소를 지으며 아이에게 다시 질문했습니다."탈무드에 이런 말이 있어.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는 사람이야말로 진정으로 강한 사람이다.’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아이는 조용히 생각에..

    2025. 2. 6. 16:34
    일상에서 대화

    아이와 함께 배우는 복리의 마법, 작은 노력의 큰 변화 ✨

    100원을 매일 2배로 늘리면, 한 달 만에 얼마로 불어날까요? 💡(정답: 1천억원)  복리의 개념은 수많은 성공한 인물들이 강조한 원리예요. 아인슈타인은 "복리는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수학적 발견이다"라고 말했고,워런 버핏은 "복리를 이해하는 것이 부를 쌓는 핵심"이라고 강조했어요. 📌 이처럼 많은 성공한 사람들이 복리를 강조하는 이유는 그것이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하기 때문이에요. 단순히 돈이 불어나는 것뿐만 아니라, 지식, 습관, 관계 등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도 적용되며 엄청난 차이를 만들어내죠. 1. 복리의 마술: 작은 것이 쌓이면 엄청난 변화가 온다복리는 단순한 덧셈이 아니라, 이전까지 쌓인 것 위에 또 쌓이는 방식이에요. 그래서 처음에는 변화가 작아 보이지만, 일정 시점..

    2025. 2. 2. 12:52
    일상에서 대화

    아이와 ‘나의 커리어와 일’에 대해 물어본다면? 어떤 대화와 토론을 하실건가요?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아이가 문득 이런 질문을 할 때가 올지도 모릅니다.“아빠(엄마)는 왜 매일 출근해요?”, “나도 크면 꼭 일해야 해요?”, “어떤 일을 해야 하나요?”그 순간 저는 어떤 대답을 해줘야 할지 고민될 것 같아요. “돈을 벌기 위해서”라는 간단한 대답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 같고, 너무 복잡하게 설명하면 아이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겠죠.그래서 오늘은 미래에 아이가 이런 질문을 했을 때 조금 더 잘 대답해주기 위해, 미리 생각을 정리하며 글을 써봅니다.  일을 어떻게 설명해야 아이가 더 넓은 시각으로 삶과 미래를 바라볼 수 있을지 고민해보려 해요.아이가 어릴 때부터 일을 바라보는 시각을 다양하게 키울 수 있다면,스스로의 미래를 생각할 때도 많은 도움이 될 거라 기대하며요...

    2025. 1. 25. 23:08
    일상에서 대화

    동물들의 겨울잠을 주제로 아이와 대화 나눌 수 있어요

    얼마 전 수목원에서 청설모가 도토리를 까먹는 모습을 보았어요. 겨울을 준비하느라 바쁜 모습이 정말 귀여웠죠. 그 모습을 보며 이런 질문이 떠올랐어요. ‘청설모는 도토리를 얼마나 많이 모을까? 다 기억할 수 있을까?’ 자연 속 동물들의 겨울 준비가 새삼 신기하고 흥미로웠습니다.이 이야기를 아이와 나누며, 자연 속 생명들이 겨울을 준비하는 다양한 방법과 그 속에 담긴 지혜를 함께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오늘은 아이와 대화를 통해 이런 주제를 탐구해볼 아이디어를 나눠보려 해요. 1. 청설모&다람쥐는 도토리를 얼마나 숨겨 놓을까?아이에게 “청설모가 겨울에 먹을 도토리를 얼마나 숨길까?“라고 질문하면 자연스럽게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어요.대화 예시“청설모가 도토리를 숨겨 두고 겨울에 꺼내 먹는데, 몇 개나 숨겨둘까..

    2025. 1. 24. 22:05
    일상에서 대화

    "왜 결혼식에서 돈(축의금)을 내요?"에 대한 대화법

    "왜 결혼식에서 돈을 내요?"라는 아이의 질문을 통해 축의금의 의미와 사회적 관습에 대해 대화해보세요. 축의금은 단순히 돈이 아닌 축하와 도움의 상징임을 알려주고, 대안적 축하 방법도 함께 상상하며 아이의 사고력과 공감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얼마 전 지인의 결혼식장에 아이와 함께 갔어요. 축의금을 내는 순간, 아이가 "왜 결혼식에 돈을 내야 해요?"라고 물었죠. 순간 당황해서 "그냥 그런 거야"라고 얼버무렸지만, 다음 번에 같은 상황이 닥치면 이렇게 말해줘야겠다는 생각에 메모를 남깁니다. 다음엔 이 질문에 대해 더 잘 대화해보기로 했습니다.1. 축의금의 의미를 알려주는 질문하기축의금은 단순히 돈을 내는 것이 아니라, 결혼을 축하하고 기쁨을 나누는 상징이에요. 이를 통해 아이가 사회적 관계와 기부의 ..

    2025. 1. 21. 21:45
    • «
    • 1
    • »
    반응형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64)
      • 일상에서 대화 (40)
      • 시사상식 (3)
      • 대화질문법 정리 (18)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 #사고력향상
    • #공부하는아빠
    • #창의력
    • #하브루타
    • #유아교육
    • #아침대화
    • #아이
    • #대화주제
    • #육아일기
    • #부모질문법
    • #부모 교육
    • #주제
    • #토론
    • #대화
    • #자기주도학습
    • #박물관
    • #초등교육
    • #교육팁
    • #사고력
    • #부모교육
    • #질문법
    • #창의적사고
    • #대화법
    • #육아팁
    • #문해력
    • #하브루타교육법
    • #교육
    • #이야기
    • #자녀교육
    • #질문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함께 묻고 함께 답하며, 지혜로운 아이로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