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하면 아이가 더 창의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을까?"
하브루타 대화를 시도하다 보면, 아이가 이야기 속 상황을 단순히 받아들이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냥 그렇게 돼서 그런 거야."라는 반응을 들으면, 어떻게 질문해야 할지 고민되죠.
그래서 이번에는 이야기의 배경과 설정을 바꿔보는 질문을 던져보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해요. 이야기를 다르게 상상하는 연습을 하면 창의적 사고력이 자연스럽게 길러질 수 있어요!
다른 팁들
2025.02.13 - [일상에서 대화] - 아이와 동화책 읽고 질문하는 방법 #1 - 하브루타 질문 현실적 부딪힐 때 부모팁
1. 이야기의 시간대를 바꿔보는 질문
왜 필요할까요?
시간적 배경이 변하면 이야기의 흐름도 완전히 달라질 수 있어요. 과거, 현재, 미래라는 새로운 틀 속에서 아이가 이야기를 다시 구성해볼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시 질문 - ‘토끼와 거북이’
- 만약 이 이야기가 지금이 아닌 과거(또는 미래)에서 일어났다면, 어떻게 달라질까?
- 만약 토끼와 거북이가 중세 시대의 기사였다면, 어떤 방식으로 경주했을까?
앞으로의 시도
책을 읽은 후 “만약 이 이야기가 다른 시대에서 벌어졌다면?”이라는 질문을 던져보며, 아이가 시간적 배경을 고려해 새롭게 사고하도록 돕기.
2. 공간적 배경을 바꿔보는 질문
왜 필요할까요?
이야기가 펼쳐지는 장소가 변하면 인물들의 행동과 이야기의 흐름도 바뀌어요. 이를 통해 다양한 환경과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어요.
예시 질문 - ‘토끼와 거북이’
- 만약 이 이야기가 바다에서 벌어졌다면, 거북이가 더 유리했을까?
- 만약 이 책의 배경이 한국(또는 다른 나라)이라면, 인물들의 행동이 어떻게 달라질까?
앞으로의 시도
“이야기의 무대가 바뀌면 어떻게 될까?”라는 질문을 활용해, 아이가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도록 유도하기.
3. 현실로 적용해 보는 질문
왜 필요할까요?
이야기 속 상황을 현실에 적용하면, 아이가 이야기와 실제 삶을 연결 지으며 더 깊이 사고할 수 있어요.
예시 질문 - ‘토끼와 거북이’
- 만약 이 이야기가 현실이 된다면, 우리 사회는 어떻게 변할까?
- 만약 너라면 토끼와 거북이 중 어떤 유형이 되고 싶니? 그 이유는?
앞으로의 시도
“이야기 속 상황이 현실에서 일어난다면?” 같은 질문을 던지며, 아이가 현실 문제와 연결 지어 생각하도록 돕기.
4. 주제의 반대 개념을 적용하는 질문
왜 필요할까요?
이야기의 주제를 반대로 설정하면, 아이가 사고의 틀을 확장하고 새로운 관점을 탐색하는 기회가 됩니다.
예시 질문 - ‘토끼와 거북이’
- 만약 이 이야기의 주제가 ‘희망’이 아니라 ‘절망’이었다면, 어떤 결말이 나왔을까?
- 만약 ‘정의’가 아니라 ‘불의’를 다룬 이야기였다면, 어떤 사건이 추가됐을까?
앞으로의 시도
“이야기의 주제가 정반대였다면?”이라는 질문을 활용해, 아이가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깊이 있게 발전시키도록 유도하기.
결론: 작은 변화가 큰 창의력을 만든다!
이야기의 배경과 설정을 바꿔보는 질문은 아이가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큰 도움이 돼요. 단순히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통해 이야기를 확장하며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해보세요!
여러분은 아이와 어떤 변형 질문을 해보셨나요? 좋은 아이디어가 있다면 댓글로 나눠주세요! 😊
2025.02.11 - [일상에서 대화] - 아이와 책 읽기를 200% 즐기는 방법 : '하브루타 토론법' 질문이 핵심
'대화질문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브루타 질문법 현실에 부딪힐 때 부모팁 #4 - 책과 현실을 잇는 창의적 질문법 (0) | 2025.02.16 |
---|---|
하브루타 질문 현실적 부딪힐 때 부모팁 #3 - 이야기 속 문제를 해결하는 질문법 (1) | 2025.02.15 |
아이와 동화책 읽고 질문하는 방법 #1 - 하브루타 질문 현실적 부딪힐 때 부모팁 (0) | 2025.02.13 |
우리 아이의 미래를 바꾸는 '고정관념' 다루기 - 부모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 (0) | 2025.02.12 |
아이와 책 읽기를 200% 즐기는 방법 : '하브루타 토론법' 질문이 핵심 (2)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