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마트 바닥에 드러누워서 발을 동동 구를 때, 등에서 식은땀 쫙 나본 적 있으시죠? 저는 어제 놀다가 마음에 안든다고 누워버린 그 경험을 했답니다. 저희 아들 우주(3세)가 갑자기 드러눕는데, 아… 정말 하늘이 노랗더라고요.
매번 “안돼!”, “일어나!” 소리만 지르는 제 모습에 현타가 오기도 하고, 이게 맞나 싶었어요. 아이는 아이대로 울고불고, 저는 저대로 진땀 빼고. 뭔가 다른 방법이 있지 않을까 고민하다가, 최근에 읽은 아들러 심리학 관련 책에서 본 구절이 떠올랐어요. “감정을 먼저 알아주는 것” 이게 모든 관계의 시작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결심했습니다. ‘욱’하는 아빠가 아니라, ‘왜?’라고 물어주는 아빠가 되어보기로요. 이름하여 ‘나프로의 하브루타 실험일지’, 오늘부터 1일입니다!
그래서, 이번 주 제 계획은 이렇습니다: ‘떼쓰기 대처 3단계’
거창한 건 아니고요. 저 같은 육아 초보 아빠도 당장 따라 할 수 있는 아주 간단한 3단계예요. 아이가 떼를 쓰기 시작할 때, 딱 이것만 해보려고요.
1단계: 감정에 이름 붙여주기
일단 아이의 행동을 멈추게 하기 전에, 감정부터 읽어주려고요. 예를 들어, “우주가 지금 많이 속상하구나”, “이게 갖고 싶은데 못 가져서 화가 났구나?” 이렇게요. 제 감정이 아니라 아이의 감정을 먼저 말해주는 거죠. 이게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아이 입장에서는 자기 마음을 알아주는 것만으로도 좀 다를 수 있잖아요.
2단계: 이유를 궁금해하며 물어봐 주기
그다음은 질문이에요. 하브루타의 핵심이 질문이라고 하더라고요. 다그치듯 “왜 떼쓰는 거야!” 이게 아니라, 정말 궁금하다는 듯이 “왜 그렇게 속상했을까? 아빠한테 말해줄 수 있어?”라고 물어보려고요. 3살 아이가 얼마나 논리적으로 답하겠냐마는, 자기 생각을 말할 기회를 주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3단계: 대안을 함께 찾아보기
마지막은 해결책을 같이 고민해보는 거예요. “지금은 이걸 살 수 없는데, 그럼 우리 어떻게 하면 좋을까?” 혹은 “집에 가서 그림으로 그려볼까?” 하고 다른 선택지를 제안해보는 거죠. 아이의 욕구를 무조건 억누르는 게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풀어주는 연습을 시켜주고 싶거든요.
솔직히, 걱정되는 점도 있어요
계획은 그럴듯한데, 솔직히 제가 먼저 욱할까 봐 그게 제일 걱정돼요. 마트 한복판에서 이러고 있으면 주변 시선도 신경 쓰이고, 저도 모르게 언성이 높아질 것 같거든요.
그래서 저만의 안전장치를 만들었어요.
심호흡 딱 3번 하기: 아이가 떼를 쓰면, 일단 속으로 심호흡부터 세 번 할 거예요.
'이건 실험이다' 되뇌기: 완벽할 필요 없다고, 이건 그냥 실험일 뿐이라고 마인드 컨트롤을 하려고요. 실패하면 내일 다시 하면 되니까요.
아무래도 처음부터 잘 되진 않겠죠? 그래도 안 해보는 것보단 낫다고 생각해요. 아이의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첫걸음이라 믿고, 한번 꾸준히 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 집은 어떠신가요?
아이가 떼쓸 때 어떻게 대처하세요? 오늘부터 저랑 같이 이 3단계, 한번 시도해보지 않으실래요? 혹시 저보다 더 좋은 꿀팁이 있다면 댓글로 꼭 좀 알려주세요. 우리 같이 배우고, 같이 크는 부모가 되자고요!
# 관련해서 미리 읽어두면 좋을 글들
참고자료: 김영훈 (2018). 아이의 공부두뇌. 베가북스.
https://m.yes24.com/Goods/Detail/6159424
아이의 공부두뇌 - 예스24
공부두뇌의 결정적 차이는 단순히 영재성이나 환경에 의한 것이 아니다. 뇌가 어떤 상태에 있느냐가 가장 큰 관건이다. 아이의 뇌가 부모의 양육태도나 공부 방법에 의하여 억제되어 있는가, 아
m.yes24.com
'일상에서 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관에서 시작하는 하브루타: 책 한 권으로 아이의 사고력을 깨우는 대화법 (1) | 2025.04.22 |
---|---|
일상이 배움터로! 가족 나들이에서 관찰력과 사고력을 키우는 하브루타 대화법 (1) | 2025.04.21 |
비 오는 날의 선물: 아빠와 함께하는 곡우 하브루타 여행 (2) | 2025.04.19 |
하브루타 질문법으로 아이의 독서 습관 쑥쑥 키우기: 책 읽기가 즐거워지는 5가지 대화법 (1) | 2025.04.18 |
간식 시간이 사고력 수업으로! 아이와 하루 배움 나누기 하브루타 대화법 (1) | 2025.04.17 |